가을에 접어들면서 야외활동이 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추석을 맞아 성묘와 벌초도 많이 가는데, 이맘때면 진드기에 물려 감염병에 걸리거나 독버섯을 먹고 탈이 나는 사고가 반복됩니다. <br /> <br />어떤 점을 주의해야 하는지 알아보겠습니다. <br /> <br />우선 진드기부터 살펴보죠. <br /> <br />참진드기와 털진드기를 조심해야 하는데요. <br /> <br />참진드기는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, SFTS를 옮기는데, 고열과 함께 오심, 구토 등 소화기 증상이 나타납니다. <br /> <br />중증으로 진행되면 신경계 이상으로 사망에 이를 수 있어 조기 진료가 매우 중요합니다. <br /> <br />털진드기는 쯔쯔가무시증을 옮기는데요. <br /> <br />진드기 매개 감염병 중 가장 흔한 병으로 털진드기 유충에 물린 뒤 고열, 근육통, 발진 등의 증상이 나타납니다. <br /> <br />털진드기 유충은 9월~11월에 왕성히 활동하기 때문에 이맘때를 특히 주의해야 합니다. <br /> <br />진드기에 물리지 않으려면 우선 야외 풀숲에는 앉아선 안 됩니다. <br /> <br />그리고 긴 옷을 입고 진드기 기피제를 사용하는 게 좋고요. <br /> <br />귀가 후에는 곧바로 샤워하고 옷을 세탁해 혹시 붙어있을지 모를 진드기를 제거해야 합니다. <br /> <br />이번엔 독버섯을 알아보겠습니다. <br /> <br />국내 분포하는 버섯 2,220종 가운데 독버섯 또는 유해 가능성이 있는 버섯이 무려 77%나 되는데요. <br /> <br />대부분 가을에 나오기 때문에 주의해야 합니다. <br /> <br />보통 독버섯은 화려한 색깔을 띤다고 알고 있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가 더 많습니다. <br /> <br />대표적인 게 독우산광대버섯인데요. <br /> <br />강력한 독소인 아마톡신이 들어있어 간에 치명적 손상을 입힙니다. <br /> <br />식용버섯인 흰주름버섯과 무척 비슷하게 생겼죠. <br /> <br />그래서 중독사고가 많이 나는 버섯입니다. <br /> <br />버섯은 워낙 종류가 많고 비슷하게 생겨서 일반인은 구분하기 쉽지 않습니다. <br /> <br />그래서 야생에서 채취하지 말고 마트나 온라인으로 유통되는 버섯을 드시는 게 안전합니다. <br /> <br />산림청 국립수목원 홈페이지에 이런 내용 아주 자세히 알려주는 '우리나라 독버섯 생태도감'이 올라와 있는데요. <br /> <br />산행 가시는 분들은 참고하시면 좋겠습니다. <br /> <br />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YTN 조진혁 (chojh0331@ytn.co.kr)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TN 검색해 채널 추가 <br />[전화] 02-398-8585 <br />[메일] social@ytn.co.kr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3_202409100918028753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